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스프링부트 도커
- 스프링 시큐리티 설정
- kotlin ::
- IOC
- method refetence
- 토비의 스프링
- 스프링 포매터
- 비기능적 요구사항
- 자바 필터
- java predicate
- 생성자주입
- 동적파라미터
- 스프링시큐리티
- spring formatter
- ioc컨테이너
- open-session-in-view
- 스프링
- 소프트웨어의 품격
- jpa lazy
- Spring
- 스프링di
- fetch join
- 수정자주입
- kotlin 리팩터링
- 기능적 요구사항
- 그래프큐엘
- jpa no session
- 도커 이미지 빌드
- 정적팩토리메서드
- Atomicity
Archives
- Today
- Total
공부기록
컴퓨터 네트워크(OSI참조 모델 등) 본문
반응형
컴퓨터 네트워크의 개요
- 컴퓨터 네트워크는 기본적으로 사람, 컴퓨터, 기타 장비들 간의 정보 교류를 위한 통신망.
- 1940년대 중반부터 군사적목적으로 미국 국방부에서부터 시작됐다. 90년대에 들어서 다양한 형태의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일반인에게도 가까워졌다.
컴퓨터 네트워크의 구성요소
- 채널
- 모든 통신은 전선, 전화선, 광케이블, 무선링크 등 통신매체를 통해서 통신 신호가 전달됨.
- 통신 신호가 실제로 전달되는 통로를 채널이라 한다.
- 주파수
- 통신신호가 초당 몇 번 진동하는가를 계산한 것.
- 단위는 헤르츠(Hz)
- 대역폭
- 통신 채널의 최대 주파수에서 최소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 대역
- 최대 주파수가 높을수록 같은 단위 시간에 더욱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.
- 노드
-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나 관련장비
- 일반 범용컴퓨터가 될 수도있고, 라우터와 같은 전용 네트워크 장비가 될 수도 있다. 심지어는 핸드폰까지도.
- 네트워크 인터페이스
-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장치.
- 컴퓨터 내부의 신호를 물리적/전기적 신호로 변환해줌. ( 0101... => 물리적/전기적신호로 바꿔서 주파수에 실어줌)
- 컴퓨터 내부에 추가되거나 주변장치로 존재
- 이더넷 카드(랜카드), USB와이파이 등이 있다
- 프로토콜
- 컴퓨터 통신을 위해 통신을 하는 노드 간 합의된 통신 약속.
- TCP/IP, HTTP 등
- 통신하는 양쪽 노드가 메시지를 보낼 때, 통신 데이터나 구조나 문법, 순서 등을 명확히 명시함.
연결 방식에 따른 분류
- 컴퓨터 네트워크는 컴퓨터들이 '사방으로 퍼져 나가는 나무의 뿌리'처럼 망을 구성한 것.
- 통신을 하는 컴퓨터 두 대는 서로 직접 연결돼있거나 여러 경로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.
- 망이 어떤 식으로 구성되어있는지에 따라 몇 가지 분류법이 있다.
- 버스형(LAN)
- 하나의 버스(기본적으로 대역폭이 넓은 채널)을 공유하며 메시지 송신시 버스에 방송하듯 버스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에 메시지를 보낸다.
- 메시지의 수신자만이 주소를 보고 선택적으로 수신한다.
- 대표적인 예로 이더넷
- 성형(WIFI) (별 모양)
- 중앙에 있는 컴퓨터가 모든 메시지의 중계자 역할
- 모든 메시지는 먼저 중앙 컴퓨터로 보내지고, 중앙 컴퓨터가 수신한 메시지를 다양한 목적지 컴퓨터에 전달함.
- 대표적인 예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(WIFI access point AP)로 구성된 컴퓨터 네트워크
- 환형(LAN) (원 모양)
- 메시지가 원형네트워크를 돌면서 차례대로 다음 컴퓨터로 전달된다. 최종 수신 컴퓨터에 도달할 때까지.
- 대표적인 예로는 토큰 링 네트워크
네트워크의 크기에 따른 분류
-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(Local Area Network) : 방, 빌딩, 캠퍼스
- 도시권 통신 네트워크(Metropolitan Area Network) : 도시
- 광역 통신 네트워크 (Wide Area Network) : 국가, 대륙
컴퓨터네트워크의 계층적 구조
- 컴퓨터 네트워크의 연결 방법들은 하드웨어 수준에서 물리적으로 이루어짐.
- 모든 신호는 전기 신호로 변형되어 전달됨.
- 인터넷과 같은 복잡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선 전기 신호 수준을 넘어서 추상적인 수준에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기능과 통신규칙등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필요함.
OSI 참조모델
- 컴퓨터 간의 통신절차를 7단계로 나눔.
- 물리 계층
- 물리적으로 연결된 채널을 통해 비트 단위로 전송이되는 계층.
- 이더넷의 연결 잭, 케이블의 전기적 특성 등이 물리 계층 수준에서 정의.
- 데이터링크 계층
- 직접 연결된 두 컴퓨터나 장비 간에 프레임 단위로 전송하는 계층.
- 전송을 위해 프레임의 시작과 끝, 수산자 주소등이 추가된다.
- 오류의 발견/ 수정하는 기능, 흐름제어 기능도 담당
- 대표적인 예는 이더넷, 와이파이 등
- 네트워크 계층
- 패킷단위의 전송이 이뤄지며, 계층적인 주소 지정방식을 사용.
- 패킷을 어떤 경로를 통해 송신 컴퓨터에서 수신 컴퓨터까지 전달할 지 결정하는 라우팅 일어남.
- 패킷들이 몰릴 경우 혼잡제어를 수행
- 인터넷의 IP가 네트워크 계층에서 정의됨.
- 전송 계층
- 세그먼트 또는 데이터그램 단위의 메시지가 송순 컴퓨터에서 수신 컴퓨터까지 신뢰성을 보장하며 전달하는 계층.
- 메시지를 패킷 단위로 잘라서 네트워크 계층에 전달.
- 중간에 사라지거나 순서가 바뀐 패킷을 오류없이 다시 구성해서 전송해주는 역할.
- 인터넷의 TCP가 이 수준에서 정의됨
- 세션 계층
- 통신 컴퓨터 간 연결의 접속/차단과 데이터 통신 방식을 결정.
- 언제 연결이 접속되고 차단되는지 등이 세션계층에서 결정.
- 표현 계층
- 응용계층에서의 데이터 사용 방식과 무관하게 잘 작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표현계층이다.
- 인터넷에서는 표현 계층이 따로 없이 개별 응용프로그램 수준에서 바이트 순서 문제를 처리해야함. (직렬화?)
- 응용 계층
- 웹에서 사용하는 HTTP, 파일 전송을 위한 FTP, 이메일 전송을 위한 SMTP 등과 같은 응용 프로토콜의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응용계층
정리.
- OSI 참조모델은 가장 초기의 네트워크 표준이라는데에 의의
- 이후 인터넷의 표준으로 정립된 TCP/IP로 인해 의미가 퇴색된 면이 있다.
반응형
'Computer Science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쿠키와 세션 (0) | 2020.01.05 |
---|---|
신뢰성을 담당하는 TCP (0) | 2019.12.09 |
간단한 프로토콜 HTTP (0) | 2019.12.01 |
웹페이지가 브라우저에 보이는 과정. (0) | 2019.08.22 |